<목차>
제1장 수혈의 유래
돌침으로 시작된 침법
뜸법의 기원
문자로 본 침법과 뜸법
제2장 수혈과 경락
수혈과 경락의 개요
수혈의 명명과 분류
수혈을 명명하는 근거
한의학의 해부학적 특징과 근거
수혈의 위치를 정하는 방법
특정혈의 분류와 의의
제3장 십사경
제1경 수태음폐경
제2경 수양명대장경
제3경 족양명위경
제4경 족태음비경
제5경 수소음심경
제6경 수태양소장경
제7경 족태양방광경
제8경 족소음신경
제9경 수궐음심포경
제10경 수소양삼초경
제11경 족소양담경
제12경 족궐음간경
제13경 독맥
제14경 임맥
제4장 수혈과 주치
음평양비
머리, 얼굴과 목 부위의 수혈과 주치
가슴 부위의 수혈과 주치
어깨, 등, 허리와 꽁무니 부위의 수혈과 주치
겨드랑이, 옆구리, 배 옆 부위의 수혈과 주치
팔 안쪽 부위의 수혈과 주치
팔 바깥쪽 부위의 수혈과 주치
다리 뒤쪽 부위의 수혈과 주치
다리 안쪽 부위의 수혈과 주치
다리 바깥쪽 부위의 수혈과 주치
다리 앞쪽 부위의 수혈과 주치
표목록
한의학 인체 부위도
자오유주도
원혈
배수혈과 모혈
낙혈
팔회혈
16극혈
정형수원경합횡도
경맥의 사가
... 사해와 그 통하는 혈위
<주춘재 [저]>
주춘재는 중국의 전통적인 철학이나 문화에 조예가 매우 깊으며,
특히 진(秦)나라 시대 이전의 서적에 애정을 기울여 지금까지 적지 않은 성과를 올리고 있다.
청년화가인 주춘재는 중국 민족문화의 시조(始祖)로 불리는 황제(黃帝)의 시대와 거기에 대응되는 신석기시대 말기까지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추적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중국의 독특한 문화체계를 논의하면서 마치 손금을 들여다보듯 훤히 꿰뚫고 있으면서도 매우 흥미진진하게 풀어내고 있다.
서양의 실증과학과 비교하여, 중국의 전통과학과 문화에 내재된 세계관과 방법론에 대해서 상세하면서도 확실한 고증과 계통 분류를 도출하고 있다.
그리고 그것이 기반이 되는 이성적인 토대와 과학적인 특징 및 고유한 인문정신, 사고방식을 충분히 보여주고 그 가운데에서도 독창성을 잃지 않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가장 특기할 만한 점은 책에 수록된 모든 내용들이 일반 대중들이 즐겨 보는 만화라는 대중적인 형식을 통해 표현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대다수의 독자들에게 중국 전통의학의 문을 여는 열쇠를 제공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이미 《역경》과 《황제내경》을 비롯한 고전들을 만화로 엮어 각국의 언어로 번역되어 여러 나라에서 출간되었다.
<정창현 [역]>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원전학(原典學) 전공)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의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중국 북경중의약대학 박사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 《황제내경》의 형신관계론(形神關係論), 중국고대철학화(中國古代哲學和), 《황제내경》적 인체생명구성론(人體生命構成論), 《황제내경》중의 시공모형(時空模型)에 대한 연구, 《온병조변(溫病條辨)》의 성립과정과 학술적 특징 등.
상품명 | 경락경혈 십사경 |
---|---|
제조사 | 자체제작 |
소비자가 | |
판매가 | 22,000원 |
상품코드 | P00000XQ |
수량 | ![]() ![]() |